코골이를 치료하려고 병원에 문의를 하는 내용들을 추정해보면 증상에 대해 열거를 하신 후 마지막에는 비용에 대해서 물어보면서 마무리를 짓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수술 등 외과적 접근을 통해 치료를 원하는 분들은 대부분 증상에 대한 이야기보다는 상대적으로 코골이 수술 비용에 대해서 더 많이 궁금해하는 것이 당연한데요.
다른 치료들보다 비쌀 것이라는 걸 예상하고 있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오늘은 비용이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코골이 수술 비용에 들어가는 필수비용은 무엇?
다른 치료들에 비해 신경을 더 써야 하는 치료가 바로 외과치료들입니다.
환자의 몸에 칼을 대는 것이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실수가 없기 위해서죠.
그래서 필요한 것이 바로 검사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코골이 수술 비용에는 치료 전에 하는 검사에 대한 비용들이 꼭 들어간다고 보시면 되요.
먼저 지금 증상의 단계를 측정하고 증상에 따라 변하는 환자의 신체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수면다원검사와 기도의 해부학적인 모습을 확인하기 위한 3DCT와 내시경 등이 있습니다.
왜 기도의 해부학적인 모습을 확인하냐구요?
코를 고는 원인이 수면 중 좁아진 기도에 있기 때문입니다. 호흡을 통해 들어온 공기가 폐로 내려가려고 할 때 좁아진 기도와 부딪히면서 마찰음이 발생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코골이 수술 비용에서는 사전 준비에 필수라고 할 수 있는 위와 같은 검사들이 꼭 들어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큰 결심을 하고 결정한 치료가 별로 효과를 보지 못하고 흐지부지하게 끝나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에요.
코골이수술비용은 증상에 따라서 달라진다
위와 같이 검사를 철저하게 하는 이유는 환자에게 꼭 필요한 치료방법만 적용하기 위함입니다.
환자가 A라는 치료만 필요한데 B를 같이 시행하게 되면 효과야 있긴 하겠지만 몸에 무리를 주게 되고 코골이 수술 비용 또한 같이 올라가게 되겠죠.
그래서 검사를 통해 내 증상에 맞는 치료만 받아야 합니다.
검사 후 의료진의 판단이 증상 초기거나 코 질환 등의 영향을 받아 코골이 있다고 진단이 내려진 분들은 여러분이 예상하신 것보다 비용의 크기가 작을 수 있습니다. 규모 자체가 작기 때문이에요.
그러나 증상이 중증 이상을 넘어가는 분들은 기도 자체가 심각하게 좁은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난이도가 어려운 치료술이 필요하기에 코골이 수술 비용이 전자의 경우보다 상당히 올라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단계들을 검사결과를 토대로 잘 정리하고 필요한 치료방법을 찾아낼 수 있는 실력 있는 의료진을 찾아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코골이 수술 비용 지불하기 전 꼭 필요한 이것?
앞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해드린 이유는 비용이 책정되는 과정을 알려드리기 위해서였습니다.
이러한 과정도 모른 채 "얼마다!"라고 한다면 부담이 너무 크겠죠.
그러나 현실은 과정을 안다고 해도 부담스럽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의료진으로부터 전해들은 내용이 줄어들지 않은 채 환자에게 그대로 오기 때문이에요.
그렇다는 건 건강보험 혜택을 받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국가적 차원에서 줄일 수 없다면 개인적으로 준비해서 줄이면 됩니다. 바로 의료실손보험이라고 불리는 실비보험이죠.
해당 보험은 건강보험 비 급여항목으로 치료를 받을 시에 대비해서 가입해두는 보험으로 현재 국민의 반 이상이 가입을 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만약 외과치료를 준비하는 분들이 실비보험을 가입해 둔 상태라면 상당부분의 코골이수술비용을 보험사로부터 환급 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의할 점은 모든 보험이 그렇다는 것은 아니고 폐색성 수면무호흡증을 포함하고 있는 보험이어야 합니다. 최근에 가입한 보험이라면 대부분 포함되어 있을 확률이 매우 높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전에 확인을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다수면증, 피로가 하루 종일 이어진다 (0) | 2025.05.01 |
---|---|
코골이치료방법을 찾고 있다면 (1) | 2025.04.30 |
다리가 저리면 하지불안증후군을 의심해야 한다?! (0) | 2025.04.29 |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당신의 잠을 점검하세요 (0) | 2025.04.29 |
하루 종일 앉아서 일하는 사무직을 위한 건강 관리법 (0) | 2025.04.28 |